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64

상속 증여 세금 상식 Part1 상속세(feat.국세청) 오늘은 국세청에서 배포한 상속 증여 세금 상식 Part1 상속세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상속세는 어떤 세금인가요 첫 번째 내용은 상속세란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속세는 사망하신 분의 재산에 대해서 남아있는 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이고 이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사망하신 분의 재산을 모두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돌아가신 분의 채무도 알아야 하는 상속세를 계산할 때 재산에서 채무를 빼고 계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용어도 알아야 하는데 사망하신 분을 피상속인(저는 용어를 익힐 때 피를 흘리고 사망한다. 그래서 사망하신 분을 피상속인이라고 이해했음), 유산을 물려받는 유가족을 상속인이라고 합니다. 2. 물려받은 것 외에 더 알아야 할 상속재산이 있나요 두 번째는 물려받은 것 외에 더 .. 2024. 2. 9.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실수 모음 정리(feat.국세청 양도소득세 실수톡톡) 국세청은 2024년 1월에 양도소득세 실수 내용을 사례를 들어 발표를 했습니다. 그림과 자세한 설명들이 있어서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오늘은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실수 모음 정리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총 7가지의 내용을 공유했는데 이 내용들을 사진으로 공유하고 각각의 사진들의 설명을 간단하게 해 보겠습니다. 1.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실수 모음 정리 ① 1세대 1주택 비과세 거주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례 1세대 1 주택 비과세를 받기 위해서는 2년 이상을 보유해야 하고 조정대상지역의 주택이라면 2년 이상 거주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중요한건 취득당시에 조정대상지역이었다면 매도시점에서 조정대상지역이 해제되었더라도 2년 이상을 거주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2... 2024. 2. 8.
양도소득세 비과세 계산 시 실수할 수 있는 점 오늘 다룰 내용은 양도소득세가 비과세인 줄 알았는데 낭패를 볼 수 있는 내용 즉 양도소득세 비과세 계산 시 실수할 수 있는점에 대해서 대표적으로 3가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양도소득세의 비과세 요건은 이러합니다 1세대가 양도일 현재 1주 택일 경우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일 경우 취득 당시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주택은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이 2년 이상일 경우 양도 당시 주택이 고가주택(실거래가 12억 원 초과)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그렇다면 비과세인지 아닌지 정확하게 체크해야 할 사항 3가지는 무엇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비거주인 경우 취득 시 조정대상지역에 포함이 되었는지 오피스텔을 보유하고 있을 때 주택 매도 시 주거용인지 분양권을 보유하고 있을 때 주택 매도 시 분양권 취득 시점이 언제인지 그럼 .. 2024. 2. 7.
양도소득세 장기보유특별공제 및 계산 방법 오늘은 양도소득세 두 번째 시간으로 양도소득세 장기보유특별공제 및 계산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본공제는 250만 원입니다 필요경비에 대해서는 지난 시간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1. 양도소득세 장기보유특별공제 그렇다면 장기보유특별공제를 표로 설명하겠습니다 보유기간 2년이상 3년이상 4년이상 5년이상 6년이상 7년이상 8년이상 9년이상 10년이상 11년이상 12년이상 13년이상 14년이상 15년이상 토지 건물등 -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1세대1주택 보유 - 12% 16% 20% 24% 28% 32% 36% 40% 40% 40% 40% 40% 40% 거주 8% 12% 16% 20% 24% 28% 32% 36% 40% 40% 40% 40% 40% 4.. 2024. 2. 6.
양도소득세 세율 및 필요경비 오늘은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양도소득세는 많이 복잡하고 다뤄야 할 내용이 많습니다 그래서 몇 번에 걸쳐 나눠서 설명하겠습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세율 및 필요경비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양도소득세의 정의 우선 양도소득세란 토지나 주택, 아파트,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이나 주식 등을 팔고 나서 차익이 발생한다면 이 차익에 대해서 일정 비율로 즉 세율로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그런데 양도소득세는 차익에 대하여 일정한 세율을 적용하는 게 아니라 양도한 금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이를 표로 만들어봤습니다 2. 양도소득세 세율 양도소득세 세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만원이하 6% - 5000만원이하 15% 126만원 8800만원이하 24% 576만원 1억5천만원이하 35% 1,.. 2024. 2. 5.
상속세 증여세 차이점과 세율 면제한도 신고기한 및 절세방법 오늘은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서 더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상속세와 증여세의 세율, 면제한도, 신고기한 및 절세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상속세와 증여세의 차이점상속세 :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부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이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상속세를 내는 경우에는 퇴직금이나 보험금의 경우에도 재산에 포함됩니다. 상속으로 2 주택자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5년간 1 주택자로 유지가 됩니다. 즉 5년이 지나면 2 주택자가 됩니다. 만일 재산보다 채무의 비중이 더 큰 경우에는 가정법원에 신고를 하여 포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세율은 상속세와 증여세가 같기 때문에 한꺼번에 표로 정리하겠습니다.증여세 : 다른 사람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 2024. 2. 4.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세율 납부기한 오늘은 종부세 즉 종합부동산세에 대해서 특히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세율, 납부기한에 대해서 더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재산세는 모든 토지와 주택을 가진 사람들이 내는 세금이지만 종합부동산세는 어느 정도의 가격을 초과하는 주택 또는 토지를 가진 사람이 내는 세금입니다 과세기준일인 6월 1일 현재 인별로 소유한 주택 및 토지의 공시가격 합계액이 과세대상 공제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부과됩니다. 1. 과세대상 및 공제액 과세대상 자산 공제액 주택(아파트,다가구 및 단독주택등) 9억 원(1세대 1주택자 12억 원,단 법인이 보유한 주택의 경,공제액이 0원) 종합합산 토지(나대지,잡종지 등) 5억원 별도합산 토지(상가,공장 부속토지 등) 80억원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은 공시가격 기준으로 여러 채의 주택을 가진 사람.. 2024. 2. 3.
재산세 납부기간 과세기준 세율 납부방법 오늘은 재산세에 대해서 특히 재산세 납부기간, 과세기준, 세율, 계산방법, 납부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는 말 그대로 재산을 가지고 있는 재산의 소유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과세를 결정하는 과세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입니다. 1. 납부기간 과세기준일 6월 1일에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세액을 정해 부과됩니다 -토지 : 매년 9월 16일~9월 30일 -건축물 : 매년 7월 16일~7월 31일 -주택 : 세액의 반은 매년 7월 16일~7월 31일, 나머지 반은 9월 16일~9월 30일( 단 납부세액이 20만 원 이하일 경우는 7월에 한 번에 낼 수 있습니다) 과세대상 납기일 주택 1기 7월16일~7월31일 2기 9월16일~9월30일 20만원이하일 경우 1기에 한번에 납부 건물 7월16일.. 2024. 2. 2.
취등록세 세율, 취등록세 계산 오늘은 취등록세의 세율, 취등록세 계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매수하려면 부동산의 가격뿐만 아니라 같이 따라오는 세금도 생각을 하여 전체적인 자금계획을 해야 합니다. 지난 글에서도 취등록세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지만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취등록세는 지자체가 부과하는 지방세이고 지방교육세와 농업특별세와 함께 계산해주어야 합니다. 1. 취등록세 세율 세율을 살펴보겠습니다. 부동산 취득 시 취득세율은 현재 나의 주택수, 취득하는 부동산의 규제지역 여부, 취득하는 부동산의 가격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부동산인 주택(아파트)에 대한 취등록세를 알아보겠습니다. 취등록세도 번번이 바뀌는데 2023년 중과 완화 안으로 적용된 세율로 작성되었습니다. 기존 취득세율에서 변화가 6억 원~9억.. 2024. 2.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