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5

재산세 납부기간 과세기준 세율 납부방법 오늘은 재산세에 대해서 특히 재산세 납부기간, 과세기준, 세율, 계산방법, 납부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는 말 그대로 재산을 가지고 있는 재산의 소유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과세를 결정하는 과세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입니다. 1. 납부기간 과세기준일 6월 1일에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세액을 정해 부과됩니다 -토지 : 매년 9월 16일~9월 30일 -건축물 : 매년 7월 16일~7월 31일 -주택 : 세액의 반은 매년 7월 16일~7월 31일, 나머지 반은 9월 16일~9월 30일( 단 납부세액이 20만 원 이하일 경우는 7월에 한 번에 낼 수 있습니다) 과세대상 납기일 주택 1기 7월16일~7월31일 2기 9월16일~9월30일 20만원이하일 경우 1기에 한번에 납부 건물 7월16일.. 2024. 2. 2.
취등록세 세율, 취등록세 계산 오늘은 취등록세의 세율, 취등록세 계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매수하려면 부동산의 가격뿐만 아니라 같이 따라오는 세금도 생각을 하여 전체적인 자금계획을 해야 합니다. 지난 글에서도 취등록세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지만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취등록세는 지자체가 부과하는 지방세이고 지방교육세와 농업특별세와 함께 계산해주어야 합니다. 1. 취등록세 세율 세율을 살펴보겠습니다. 부동산 취득 시 취득세율은 현재 나의 주택수, 취득하는 부동산의 규제지역 여부, 취득하는 부동산의 가격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부동산인 주택(아파트)에 대한 취등록세를 알아보겠습니다. 취등록세도 번번이 바뀌는데 2023년 중과 완화 안으로 적용된 세율로 작성되었습니다. 기존 취득세율에서 변화가 6억 원~9억.. 2024. 2. 1.
부동산 세금의 종류, 신고 방법, 납부 시기 부동산은 우리의 일생에서 멀어지려야 멀어질 수 없는 존재입니다. 평생 동안 겪어야만 하는 이 부동산. 이 부동산의 세금은 어렵게 다가와 부담이 되는 게 사실입니다. 어렵고 까다롭지만 이 부동산에 대한 세금은 많이 알면 알수록 좋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유익이 되는 내용을 알려드릴 테니 많은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이 부동산을 살 때, 팔 때, 보유할 때, 증여할 때, 상속할 때 따라오는 게 세금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각 어떤 세금들이 있는지 얼마를 내야 하는지, 어디에 내야 하는지, 언제까지 내야 하는지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우선 부동산에 대한 세금의 종류와 정의, 신고방법, 납부시기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세금의 종류 살 때 : 취등록세 보유할 때 : 재산세, 종부세.. 2024. 1. 31.
728x90
반응형